전체 글 (581) 썸네일형 리스트형 늙지 않는 열매 눈건강의 황제 아로니아 효능 동양에서는 늙지 않는 열매라고 불리며 유럽에서는 왕과 귀족들의 과일이라고 해서 왕의 열매라고 불렸던 조금은 생소할 수도 있지만 아로니아의 마법 같은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고 아로니아의 영양소인 안토시아닌에 대해서 알아보고 아로니아를 맛있게 섭취하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아로니아 효능과 먹는법 얼마 전에 저희 시골집에서 500평 정도 되는 땅에서 아로니아를 재배한 적이 있습니다. 수확을 해보니 크기는 블루베리와 비슷하였고 색깔은 약간 어두운 보랏빛의 검은색인 굉장히 먹음직스러운 열매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반전이 있었죠. 상상과는 달리 굉장히 떫은맛이었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리면 도저히 씹어서 삼킬 수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래서 이런 맛의 열매가 왜 유럽이나 동양에서 유명해졌는지 궁금해졌어요. 그래서.. 입냄새 제거방법 치실이 가장효과적이네요 입냄새 원인과 입냄새 심한 이유를 함께 알아보고 입냄새 제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저도 입냄새로 고생을 많이 했지만 지금은 치료방법을 찾았습니다. 그 사례도 진심을 다해 포스팅해 보겠습니다. 입냄새 원인과 제거방법 입냄새 원인 1. 양치를 제대로 하지 않아 구강위생에 문제가 생겨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2. 지속된 흡연으로 인해 입안 환경이 나빠져서 악취가 날 수도 있습니다. 3. 생리 중인 여성의 경우 몸속 환경이 변화하면서 입냄새를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4. 현대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역류성 식도염으로 인해서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5. 극심한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서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6. 체력저하 또는 만성피로를 인해서 입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7. 다이어트로 인해서도 입.. 최대 1년 6개월 육아휴직 급여신청 2023년 육아휴직에 대해서 알아보고 육아휴직 신청조건 및 육아휴직 급여와 육아휴직 2023년 변경사항에 대해서도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제 주변에도 육아휴직 신청을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육아휴직이란 임신중에 있는 여성의 근로자 이거나, 직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근로자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국가에 신청하는 휴직제도입니다. 그리고 최소 30일부터 최대 1년까지 사용가능한 제도입니다. 1. 육아휴직 신청 조건 소속된 직장에서 최소 6개월 이상이 되어야 신청가능 합니다 근무하고 있는 직장의 사업주로부터 육아휴직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자녀 1명당 1년 사용가능하고, 자녀가 2명일 경우에는 총 2년을 사용 가능합니다 부모 모두가 근로자라고 한다면 자녀 1명을 기.. 근무중인 우체국 집배원 공무원 되는 과정 국가직 공무원 우정직 시험 면접 별정직 우편 택배 우체국 집배원 공무원은 일반 행정직 공무원과는 다르게 난도 있는 시험을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저는 집배원으로 채용되어 근무를 하고 있습니다. 제 경험을 바탕으로 집배원이 되는 과정을 상세히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 우체국 집배원 공무원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집배원으로 근무를 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이렇게 글을 적게 된 이유는 집배원이 되기를 바라는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 이 글을 적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집배원이 공무원이라는 사실을 잘 모르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제 주변에도 " 집배원이 공무원이었어? "라고 놀라시는 분들도 상당히 많이 본 것 같아요. 정확히 말씀드리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의 우정직 공무원입니다. 그리고 소속은 우정사업본부 휘하에서.. 2024년 최저임금 국밥 한그릇에 만원인데 물가상승률은 계속 오르고 있습니다. 그에 비해 월급은 정말 저조하게 오르고 있는데요. 월급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최저임금이 많아져야 합니다. 저도 힘들게 일하는 근로자로서 내년 최저시급에 대해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최저임금, 최저시급에 대해서 궁금증을 해소시키고 그에 맞게 지출 줄이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2024년 최저임금과 지출 줄이기 1. 최저임금제의 개념 대한민국은 처음 1953년에 근로기준법을 제정하였지만 실질적으로 1988년 1월 1일부터 시행을 하였습니다. 그리고 2000년 11월 24일부터 사업장과 근로자에게 처음으로 적용을 시켰습니다. 최저임금의 심의와 결정은 매년 6월 29일까지 고용노동부 장관을 포함한 그 외의 관련된 근로자와 지정받은 공익위원들이 의.. 이전 1 ··· 70 71 72 73 다음